-
[칼럼]
‘주체적 AI’와 로봇의 만남…사회·기업 대변환 이끈다-이준기 정보대학원 교수
드디어 현실이 되었다. 2010년대 중반, 알파고의 등장 이후 우리는 줄곧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막연한 불안 속에 살아왔다. 그 불안이 점차 구체적인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며칠 전 맥도날드는 로봇과 인공지능만으로 운영되는 매장을 열었..
중앙일보 2025.04.14 -
[인물동정]
"렉라자 10년 임상 여정...생존기간 증가 감개무량"-조병철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차지현 기자: 안녕하세요. 헬스케어 산업 내 다양한 인물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보는 DP초대석 시간입니다. 최근 유럽종양학회 'ELCC 2025'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는데요. 이번 학회에서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은 MARIPOSA 임상 3상 최종 연구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MAR..
데일리팜 2025.04.14 -
[인물동정]
"계엄 위헌성 알려야겠다는 생각...헌법지식으로 행동 나선 것"-김정환 사회과학대학원 객원교수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5분. 김정환 변호사(법무법인 도담·연세대 사회과학대학원 객원교수)는 예정된 대학 동기들과 송년 모임도 가지 못하고 서초동 사무실에 앉아 업무를 보고 있었다. 이 때 기자 일을 하고 있는 후배 한 명으로부터 계엄령이 선포될 것 같다는 ..
뉴스핌 2025.04.14 -
[인물동정]
트럼프식 '롤러코스터 관세'…결국 90일 유예-봉영식 객원교수
<출연: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행진에 국제사회는 혼란 그 자체입니다. 장기화하는 미·중 관세 전쟁에 각국은 충격파 최소화 방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글로벌 정세 변화 전문가와 진단해보죠.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 어서오세요. <질문 1>..
연합뉴스TV 2025.04.14 -
[인물동정]
105세 철학자가 전하는 행복의 조건-김형석 명예교수
“공부하는 사람은 항상 젊게 살 수 있습니다. 행복이 뭔가 하니, 계속해서 무언가 일을 하고 그것을 잘 키워나가는 것이었습니다.” 105세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가 행복의 첫 번째 조건으로 ‘내가 나를 잘 키워가는 것’을 꼽았다. 행복은 그냥 주어지는 것..
강원도민일보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