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동정]
부사 ‘마침내’, 존재감을 드러내다-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김한샘 교수
“퇴근하는구나, 마침내” “통장 잔고가 붕괴되었어요. 아껴 쓰는구나 마침내”···. 영화 한 편이 대중의 언어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최근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온 저 문장들에 들어 있는 부사(副詞) ‘마침내’는 그 증거물과 같다. 6월 말 개봉한 수사 ..
조선일보 2022.08.11 -
[교육뉴스]
대학에는 성범죄 발생 왜 안 알리나
공무원이 범죄를 저질러 수사를 받게 되면 수사 중이라는 사실이 소속 기관장에게 통지된다. 국가공무원이든 지방공무원이든 마찬가지다. 만 19세 미만인 청소년이 범죄를 저질렀다면 어떻게 될까. 현행 소년법은 엄격한 보도 금지 조항을 두고 있다. 소년법에 따른 조..
중앙일보 2022.08.11 -
[교육뉴스]
창의력을 키우지 못하는 우리 교육 시스템
21세기를 살아갈 오늘의 학생들이 필히 갖추어 할 능력은 무엇일까? 많은 학자들은 이에 대해 4C, 즉 창의력(Creativity), 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 소통 능력(Communication), 그리고 협력 정신(Collaboration)을 꼽고 있다. 홍수 같은 정보와 지식 속에서 ..
동아일보 2022.08.11 -
[교육뉴스]
韓, 과학논문 인용 日 앞질러…1위는 어느 나라?
학계에 많이 인용된 상위 10% 논문 보유 국가 순위에서 한국이 일본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이 보도한 일본 문부과학성의 ‘과학기술지표 2022’에 따르면 2018~2020년 세계에서 인용이 많이 된 상위 10% 논문의 숫자는 한국이 11위, 일본이 12..
동아일보 2022.08.11 -
[교육뉴스]
관악 주민들, 서울대 교양강좌 들을 수 있다고?
서울 관악구가 서울대와 함께 지역주민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관악시민대학’과 평생학습 심화 과정인 ‘관악시민대학원’을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관악시민대학은 학관 협력사업으로 서울대의 우수한 교육인적자원과 수준 높은 교육내용을 지역사..
서울신문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