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룸

[2010. 12. 28] 안용식 교수 편찬 2010.12.28

안용식 교수 편찬

조선총독부로 이름만 바꾸었을 뿐 통감부 관료들은 그대로 존속하였다.’

연세대 안용식 명예교수는 1910조선총독부직원록에 실려있는 고등관과 판임관 6,239명의 전수조사를 통해 179명을 제외한 나머지 6,160명이 모두 통감부에 재직했던 자들임을 밝혔다. 이와 같은 사실은 28일 펴낸 일제 강점초기 관료 분석’(연세대 국가관리 연구원 발행)에 나타났다.

안 교수는 지금까지는 통감부 통치체제가 그대로 조선총독부로 이어졌다고 추정만 했을 뿐 이처럼 전수조사를 통해 명확하게 연속선상에 있었음을 밝히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그는 전수조사를 통해 전체 고등관과 판임관 7,356명 가운데 83.7%가 총독부 관리로 넘어왔음을 밝혔다.

6,160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인이 2,410, 일본인이 3,750명으로 일본인의 구성이 더 높다. 고등관의 경우 한국인이 495, 일본인이 628명이었다. 한국인이 이처럼 500여명에 달하는 것은 지방관(도장관, 도참여관, 군수)335명에 달하기 때문이다. 일제 식민화에 공을 세운 친일인사로 채워진 중추원의 고문, 찬의 , 부찬의가 68, 판검사가 73명에 달했다. 총독부 본부에는 일본인 고등관이 84, 한국인 기술직은 3명 뿐이었다. 철도국, 세관, 전매국 등에는 한국인 고등관이 1명도 없었다.

하위직 관리에 속하는 판임관의 경우, 한국인 전체 1,915명 가운데 1,231명이 지방(군서기)에 근무했다. 토지수탈과 관련해 조사와 측량사무에 종사한 사람은 293, 재판소 서기와 통역은 173, 경찰 경부직 등은 130명이었다. 총독부 본부에는 일본인 판임관이 362명이었지만 한국인은 34명에 불과했다. 철도국에는 한국인이 없었다.

안 교수는 이번 전수 조사를 통해 총독 정치의 주요행정은 일본인만으로 독점돼 있었고 한국인은 고등관이 되어도 중추원과 같은 유명무실한 직위에 배치하거나 극소수의 친일 한국인만을 전시효과를 위해 지방 대민접촉 부서에 배치한 것이 전부였다. 하위직 한국인 관리는 지방에 대거 배치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