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소개

건물과 길

  • 경영관은 옛 용재관 부지에 2013년 11월 27일 착공하여 2015년 8월 21일에 준공되었으며, 철골 및 철근 콘크리트구조로 지하 3층, 지상 6층, 건축면적 834.58평, 연면적 6,090.76평의 건물이다. 경영관은 주변의 녹지와 조화를 이룬 친환경 그린 건축물을 지향하였고, 에너지절감을 위하여 태양열과 지열 등의 친환경에너지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옛 용재관의 외관을 살려 용재관 타워를 외관 디자인에 반영했고, 건물 주변의 진달래동산을 복원하였다. 현재 경영대학, 경영전문대학원이 사용하고 있으며, 용재홀을 포함하여 경영대학 강의실과 교수실, 세미나실, 도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닫기
  • 공학관(제1공학관, 제2공학관, 제3공학관, 제4공학관) 상세 정보 보기

    축구장으로 사용하던 자리에 위치한 제1공학관은 독일복음전도회 중앙회를 통하여 독일 정부의 원조금과 재단 보조금으로 1970년 8월에 착공하여 1972년 2월 29일 연면적 1,854평의 철근 콘크리트 2층 건물이 준공되었다. 1979년 2월 28일에 증축공사를 착공하여 1980년 11월에 연면적 5,734평의 지하 1층 지상 5층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 되었으며, 1987년 9월 다시 증축공사를 착공, 연면적 6,169.23평이 되었다. 2014년 6월에는 연건평 1,452.42평, 지상 6층 규모로 남북윙 증축을 착공하여 2015년 6월 1일 준공되었으며, 이로써 제1공학관의 연면적은 7,621.65평으로 확장되었다. 공과대학의 부족한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숙원사업이었던 제2공학관은 1992년 4월 착공하여 1994년 3월 9일 지하 2층, 지상 7층, 연면적 4,317.47평 규모로 준공되었다. 공과대학 건축공학과가 설계하고, (주)대우에서 시공하여 공과대학 일부 학과가 사용하고 있다. 제2공학관의 건축에는 (주)금호, 아남산업(주), 동양그룹, 기아자동차(주), 연강학술재단, 현대그룹, 한화그룹, 무역협회 등 주요 기업체 및 단체들의 기부금과 공과대학 동문, 산업대학원 동우회, 학부모들의 성금이 큰 공헌을 하였다. 제3공학관은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3,596평의 규모로 1997년 8월 7일 최초 준공되었으며 늘어나는 공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2003년 5월에 2개 층, 876평을 증축하여 제3공학관은 지하 2층, 지상 7층 총 4,472.41평 규모가 되었다. 제3공학관 신축이 마무리됨에 따라 공학관은 3개 동에 총 15,296평의 매머드 교육․연구 공간이 갖추어져 그동안의 교육 공간 부족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되었으며 강의실 및 연구소의 환경개선에 기여하여 면학 분위기 조성에 크게 이바지하게 되었다. 제4공학관은 2017년 2월 23일 준공되었으며, 지하 1층, 지상 10층, 연면적 4,836.20평 규모의 강의실, 연구실 등이 조성되었다. 현재 공사 중인 제5공학관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최첨단 공학 분야 및 융합연구를 위하여 최적화된 공간으로 마련되며, 지하 2층, 지상 7층, 연면적 2,547평 규모로 2025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닫기
  • 공학원은 국내 최초, 최대 규모의 복합 산학협동 연구단지로서 연세대학교의 산학협동 취지에 적극 찬동하는 국내 유수 기업들(풀무원, 대우자동차, 삼성전자, LG그룹, 현대전자, 한국통신, 세풍)과 연세대학교의 노력으로 1995년 8월 18일에 착공하여 1999년 4월 8일 건물이 준공되었다. 지하 5층, 지상 4층, 연면적 20,216.01평의 건물로서 연세대학교의 관문에 위치하며, 공과대학과 포스코브릿지로 연결되어 있어서 산학협동의 의미를 더욱 새롭게 한다. 공학원 내에는 정보통신처 외에도 10여 개의 산업체 연구소와 14개의 학교 연구소, 중소기업기술지원센터, 창업센터 등이 있어 24시간 학술 및 연구 활동이 쉼 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대강당, 세미나실, 영상회의실과 식당, 카페 등의 복지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닫기
  • 과학관은 학교법인 연세대학교의 지원과 독일복음전도회를 통한 독일 정부의 원조금으로 1982년 3월 25일 착공하여 1984년 6월 24일에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6,470.34평으로 최초 준공되었다. 이후 건물 노후와 연구 공간 확보가 필요하여 2014년 10월 14일에 외벽 환경개선 및 증축공사를 시작, 2015년 8월 25일에 준공되어 전체 연면적은 7,726.87평으로 확장되었다. 현재는 이과대학과 자연과학연구원 등 다양한 이학분야의 주요 연구시설이 입주하고 있다.

    닫기
  • 과학원은 지하 3층, 지상 4층, 연면적 4,328.99평으로 2000년 8월 3일에 준공되었다. 과학원에는 생명시스템대학 시스템생물학과, 생화학과와 이과대학 일부 학과가 교육 및 연구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고, 생명시스템연구원 등 생명과학 분야와 이학 분야의 연구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생명시스템대학의 부족한 교육·연구 공간 확보를 위하여 과학원 증축공사(바이오시스템연구센터)를 진행 중이며, 지하 2층, 지상 6층, 연면적 2,000평 규모의 건물이 2025년 6월 완공될 예정이다.

    닫기
  • 광복관은 미 제5공군에서 기증한 대부분의 건축 자재와 연세대학교의 공동 노력으로 1956년 5월에 완성된 벽돌조 3층 현대식 건물이다. 일제하에서 목숨을 아끼지 않고, 연희를 지켜온 분들의 공적을 치하하기 위하여 이미 고인이셨던 유억겸, 이춘호, 이묘목, 홍승국, 최현배 교수와 납치인사인 정인보, 이순탁 교수, 그리고 명예총장이셨던 백낙준 박사를 기념하기 위해 1958년 연세대학교 제2회 창립기념식에서 광복관이라 명명하였다. 노후화된 건물을 재건축하기 위해 동문들의 기부금과 연세대학교의 공동 노력으로 2000년 5월 재건축을 시작하였고, 2002년 1월 15일 봉헌식을 올렸다.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3,587.23평으로 재건축되었으며, 현재 법학전문대학원과 법무대학원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광복관 별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11.54평 규모로 2008년 11월 1일에 준공되었으며, 법학전문대학원을 위한 모의법정, 국제회의장, 세미나실, 강의실로 이용되고 있다.

    닫기
  • 광혜원(서울, 재동 소재)은 1885년 4월 10일,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이자 의사인 알렌(N. H. Allen, 安蓮)이 고종의 위촉으로 개원한 왕립병원이다. 이곳에서는 진료 활동뿐만 아니라 학생을 선발해서 서양 의술의 학습도 이루어졌다. 광혜원은 한국 최초의 현대식 병원이었을 뿐 아니라 최초로 서양 의술을 교습한 교육기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광혜원은 제중원(濟衆院)으로 개칭되었다. 현재의 광혜원은 1987년 4월 연세역사의 뜰(수경원)에 옛 모습대로 복원하여 연세대학교 역사의 기록 및 보존을 위한 연세사료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닫기
  • 교육과학관 상세 정보 보기

    교육과학관은 1970년 8월 10일에 착공, 1971년 12월 31일에 준공되어 종합교실단으로 사용되었다. 1994년 400평이 증축되어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2,113평의 T자형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늘어났다. 1996년 8월 한총련 학생들의 점거 및 방화로 약 2년 간 사용을 못하다가 연세구성원들의 기부로 전면 개보수 하였다. 2003년 6월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를 하여 연면적 2,154.22평이 되었고, 2013년 11월에 교육과학관으로 건물 명칭을 변경하였다. 현재 학부대학, 교육과학대학 및 교육대학원에서 사용하고 있다.

    닫기
  • 노천극장 상세 정보 보기

    노천극장은 대강당이 세워지기 전까지 연희의 정신을 길러주고 마음을 가꾸어 주던 곳으로 그 유서가 깊다. 1932년 Dr. Miller 교수에 의하여 설계되어 1933년 5월 준공되었다. 이후 1957년 여름부터 원형 보존과 시설보완을 위한 보수공사를 거쳐 1999년 5월 동문들의 기부금으로 현재와 같은 현대식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 이 동문들의 소중한 뜻을 기억하는 의미에서 이름을 좌석에 새겨 놓았다. 현재 노천극장은 입학식, 합동응원제, 각종 콘서트 등 여러 행사 장소로 사용되며, 좌석 수는 총 7,500석(플로어 제외)이다.

    닫기
  • 논지당은 1956년에 28평의 건물로 지어졌으나, 기예실습실 및 휴게실을 확장하기 위하여 1963년 9월 43.7평을 같은 구조로 증축하여 71.7평이 되었다. 2004년 5월 건물 전체의 개보수와 정원을 새롭게 구성하여 여학생 휴게실 및 수유실을 만들었으며, 현재 윤리인권위원회 성평등센터가 사용하고 있다.

    닫기
  • 대강당은 1958년 12월에 면적 768.96평, 연면적 1,587.82평인 철근 콘크리트 4층 규모로 2,300여 석의 좌석을 갖춘 건물로 준공되었다. 강당은 주로 채플 장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각종 기념행사와 문화행사 장소로도 사용되고 있다. 일부 공간은 학생동아리와 시설처 안전관리팀에서 사용하고 있다. 2005년에 전반적인 개수공사를 실시하여 내부구조, 무대장치, 음향기기, 조명 등이 현대화되었으며, 현재 좌석수는 총 1,649석(1층 1,144석, 2층 505석)이다.

    닫기
  • 대우관은 본관과 별관 2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6년 6월 당시 상경대학 동문회장이었던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 및 상경대학 동문들의 기부금을 모아 건립한 건물이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대우관, 김우중기념관으로 명명되었다. 본관은 지하 4층, 지상 6층, 연면적 8,778.35평, 별관은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1,321.10평 규모의 최신 건물이다. 현재 본관은 상경대학, 경제대학원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지하와 1층은 강의실로 2층 이상은 연구실, 행정실, 대학원 강의실로 쓰인다. 별관은 언더우드국제대학 강의실 및 연구실 등으로 주로 사용하고 CPA고시반이 일부 공간을 사용하고 있다.

    닫기
  • 루스채플 상세 정보 보기

    루스채플은 미국에 있는 루스 재단 기부금과 학교 보조금으로 건축된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서 지붕은 철골 특수 캔트레버트러스로 면적 329.9평, 연면적 463.16평을 1973년 8월에 착공하여 1974년 9월에 준공되었다. 내부는 예배실, 교목실장실, 교목실, 사무실이 있으며, 건물의 명칭은 기부자를 기념하기 위하여 루스채플이라 명명하였다. 루스채플은 2006년 4월 1일부터 증축공사를 시작하여 2006년 11월 14일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754.83평인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증축공사를 완공하였다. 증축된 건물은 강의실, 연구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해당 증축공간은 원일한 박사를 기념하여 원일한 홀이라 명명하였다.

    닫기
  • 무악학사 상세 정보 보기

    무악학사는 학생기숙사로서 교내 북문 쪽(연희동 산 10-1번지) 산자락에 대규모 기숙사촌을 형성하여 자리 잡고 있으며, 기숙사 주변이 산림과 녹지로 조성되어 있어 항상 쾌적한 자연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다. 무악1, 2, 3, 4학사는 학부생 및 본 대학원생들이 생활하는 기숙사이며, 4개 학사를 일컬어 ‘생활관’이라 한다. 무악5학사는 5개부 운동선수들이 생활하는 기숙사이고, 무악6학사는 대학원생 중심 기숙사인 우정원(宇庭園) 기숙사이다. 내부 시설은 휴게실, 체력단련실, 독서실, 컴퓨터실, 세탁실, 식당, 매점 등이 있어 기숙사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무악1학사는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2,098.59평의 건물로서 1989년 11월 7일에 준공되었으며, 수용인원은 496명이다. 무악2학사는 1학사와 같은 규모와 형태의 건물로 1993년 8월 5일에 준공되었으며, 수용인원은 500명이다. 무악3학사는 지하 2층, 지상 5층, 연면적 2,858.14평의 의료원 동으로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 동문들의 기부금으로 1998년 4월 30일에 준공되었으며, 의·치·간 3개 대학 학생(간호사 포함) 278명을 수용할 수 있다. 무악4학사는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2,748.81평의 건물로 1998년 4월 30일에 준공되었으며, 수용인원은 379명이다. A동은 각종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학생을 수용하고, B동은 다양한 아파트형 숙소로 외국인 교원들이 생활하고 있다. 이 건물들은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구조로서 건물 외벽이 붉은 벽돌로 주변의 넓은 녹지와 미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다. 무악5학사(운동선수기숙사)는 지하 2층, 지상 6층, 연면적 1,951.46평의 건물로 2004년 6월 16일에 준공되었으며, 5개 운동부 선수들을 위해 체력단련실, 재활치료실, 공동목욕실, 식당 등 내부시설을 갖추고 있고, 지하층은 연구소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무악6학사(우정원)는 ㈜부영주택에서 100억원 상당의 건물 기부를 통해 연면적 2,000.15평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2014년 10월 31일 준공되었다. 건물을 기부한 ㈜부영주택 대표 이중근 회장의 호를 빌어 우정원(宇庭園)이라 명명하고 대학원생 전용 기숙사로 활용하고 있다. 수용인원은 379명이다.

    닫기
  • 백양관은 학생들로 하여금 경영학의 이론을 연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터전을 제공하여 안으로는 참신하고 능동적인 학풍을 진작하며 밖으로는 국가 경제발전과 인류문화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건립한 것이다. 초기 건물의 규모는 1,894평으로, 1968년 7월 1일에 준공되었으며, 1970년 8월에는 본 건물 남쪽에 732평을 추가로 증축하여 1971년 5월 8일에 완공되었다. 이어서 1982년 4월에는 건물의 북쪽에 447.07평을 추가로 증축하여 1982년 12월 21일에 완공되었으며, 2005년 8월 말, 전면부 2층을 추가 증축하여 현재 모습으로 완공되었다. 백양관은 면적 976.05평, 연면적 3,228.69평으로서 경영학교실단이라는 이름으로 상경대학과 경영대학원이 사용하였으나 대우관으로 이전하였고, 현재는 학부대학 및 교양교육 공간, 총무처, 시설처, 국제처, 연구처, 산학협력단 등의 행정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닫기
  • 백양누리 상세 정보 보기

    백양누리는 백양로를 차 없는 거리로 조성하고 소통과 융합, 문화의 장으로 만들기 위한 “백양로 재창조 프로젝트”에 따라 2013년 8월 착공하여 2015년 9월 18일 준공되었다. 백양로를 따라 길이 400여 미터에 걸쳐 지하 두 개 층, 연면적 17,769.68평 규모의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완성된 백양누리는 지하 1층에 각종 편의시설과 기념품점, 글로벌라운지, 동문라운지, 행사장, 식당, 금호아트홀, 주차장을 갖추었고, 지하 2층은 전체가 주차장으로 조성되었다. 지하 공간이지만, 밝고 쾌적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곳곳에 선큰 공간을 배치했고, 지상과 지하가 연결될 수 있도록 11개소의 계단실과 5개소의 엘리베이터, 학생회관 앞에 1개소의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하였다. 지하 공간은 중앙도서관과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학원 및 암병원과도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백양누리는 약 2만 명에 달하는 연세인의 기부금을 바탕으로 조성되었다. 특히, 금호아트홀은 총넓이 1,700평, 390석 규모의 클래식 연주 홀로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기부로 건립되었다.

    닫기
  • 백주년기념관 상세 정보 보기

    백주년기념관은 연세대학교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고 영원한 연세정신을 기리기 위해 동문, 교직원, 사회유지, 학부모, 재학생 등 많은 분들의 뜻과 정성으로 세워졌다. 1986년 8월에 착공하여 1988년 1월 22일에 준공된 이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3,212.62평의 우아하고 현대적인 건물로서 입학처, 박물관, 콘서트홀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입학처는 2011년 10월 옥상에 215평의 공간을 증축하여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으며, 3층에는 별도로 입학안내실을 운영한다. 박물관은 전시실 8개소와 1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청각실 1개소가 있고,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장고 8개소가 있다. 콘서트홀은 829석(1층 613석, 2층 216석)으로 2013년 국내 최고의 음향 수준을 갖춘 공연장으로 리모델링하였으며, 객석과 휴식을 고려한 넓은 로비가 있고 각 층마다 휴게실을 두었다.

    닫기
  • 법현학사 상세 정보 보기

    법과대학 동창회에서 후배들의 고시 등용문을 넓히기 위해 건립 운동을 시작하여 동창회 모금과 기성회 보조금으로 1975년 11월 1일에 완공되었다. 건물이 노후되어 2016년 12월에 제중학사와 함께 재건축되었다. 지하 3층, 지상 7층, 연면적 3539.66평 규모의 건물로서 총 189실(1인실 2실, 2인실 187실)에 376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스터디룸 및 세미나룸 등 학업과 연구에 필요한 공간은 물론 기숙사 생활의 편의를 위한 휴게실, 공용주방, 편의점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있다.

    닫기
  • 본관(언더우드관)은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이자 초대 교장이었던 원두우(元杜尤) 박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그의 형제인 존 언더우드 씨의 기부금으로 지은 것이다. 1921년 짓기 시작해 1924년에 완성되었으며 지상 5층, 면적 214평, 연면적 819평 규모의 석조 건물로서 아펜젤러관과 함께 연세대학교에 두 번째로 세워졌다. 문과대학에서 사용하여 오다가 1982년 3월부터 대학 본부 건물로 총장실, 기획실, 교무처, 대외협력처 등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981년 9월 25일 문화재 사적 276호로 지정되었다.

    닫기
  • 빌링슬리관 상세 정보 보기

    빌링슬리관은 1968년 4월 15일에 착공하여 1968년 10월 30일에 준공되었으며, 지상 4층, 면적 202.57평, 연면적 680.55평의 석조 건물이다. 미국 감리교 여선교회와 학교 재단의 재정원조로 건립된 것으로 생활과학대학이 사용해 오다가 1999년 생활과학관(삼성관)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현재는 언론홍보대학원과 사회과학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삼성관은 삼성그룹, 교수, 동문 등의 기부금으로 지어진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3,042평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조 건물이며, 1999년 1월 18일에 최초 준공되었다. 이후 계속되는 공간 수요의 충족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하여 2006년 2월 지상 7층에 1개 층 386평을 증축하여 총 3,428평의 규모가 되었다. 현재 생활과학대학, 생활환경대학원이 사용하고 있으며, 세미나, 전시회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이순홀이 있다.

    닫기
  • 상남경영관 상세 정보 보기

    상남경영관은 기업체 전문경영인 양성을 위한 교육, 연구 및 자문 사업을 목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1,822평 규모로 1998년 11월 26일에 준공되었다. 1~2층에는 대형 강의실과 맞춤형 토론식 강의실을 갖추고 있으며, 3층에는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행정실이 위치하고, 4~5층에는 연세대학교 방문자 및 구성원을 위한 교내 유일한 객실(총 36개 룸)을 갖추고 있다.

    닫기
  • 새천년관 상세 정보 보기

    새천년관은 세계적인 수준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국제적 교육기관으로 발돋움하는 것을 목표로 1,700여 평의 대지 위에 지어졌다. 지하 3층, 지상 7층, 연면적 4,300평 규모이며, 1997년 5월 10일 착공하여 2000년 4월 25일 준공되었다. 새천년관은 강의실, 세미나실, 멀티미디어실, 컴퓨터실, 국제회의실, 가상도서관 등을 두루 갖추고 있다. 현재 국제학대학원, 정보대학원, 국제학연구소, 현대한국학연구소 등 국제학 관련 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성암관은 사업가 하원준 씨가 함안 농장 기금의 일부를 기부하여 건립된 건물로서, 하원준 씨의 '성암재단'을 기념하기 위하여 성암관이라고 명명하였다.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337.92평의 석조건물이며, 1960년 10월 3일에 준공되었다. 1987년에 개수공사를 하고 국제학대학원, 국제교육부가 사용하다가 새천년관이 완공됨에 따라 이전하였다. 전반적인 내부공사를 한 후 2001년 3월부터 커뮤니케이션대학원이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스팀슨관 상세 정보 보기

    스팀슨관은 연세대학교에 최초로 세워진 건물로서, 1919년 착공하여 1920년 완성된 지하 1층, 지상 2층, 면적 136평, 연면적 349평의 석조 건물이다.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 언더우드 박사가 고향인 미국으로 돌아가서 항구적인 학교건축을 위해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던 찰스 스팀슨의 기부금을 얻어놓고 세상을 떠난 뒤, 후임교장인 에비슨이 그 기부금으로 건립한 것이다. 현재 대학원, 고등교육혁신원, 대외협력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981년 9월 25일 문화재 사적 275호로 지정되었다.

    닫기
  • 아펜젤러관 상세 정보 보기

    아펜젤러관은 미국 매사추세츠 피츠월드의 제일감리교회에 의한 기부금으로 1924년에 준공되었으며, 지하 1층, 지상 3층, 면적 143평, 연면적 502평의 석조 건물이다. 현재 사회복지대학원, 글로벌사회공헌원 등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981년 9월 25일 문화재 사적 277호로 지정되었다.

    닫기
  • 알렌관은 연세창립 100주년의 일환으로 1986년 5월 기존의 영빈관 건물을 철거한 후 세운 현대식 건물이다. 1987년 2월 6일 면적 292.69평, 연면적 512.94평 규모로 준공되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의료기관이었던 광혜원을 설립한 알렌 박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알렌관이라 명명하였다. 알렌관은 무악홀, 청송홀을 비롯한 중소형의 각종 회의실을 두어 회의와 식사를 병행할 수 있다.

    닫기
  • 언더우드가 기념관 상세 정보 보기

    언더우드가 기념관은 연희전문학교 3대 교장이었던 원한경 박사가 1927년 연희 교정 서편 언덕 너머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지은 사택이다. 현재 별관으로 불리는 차고도 함께 건립되었다. 한국전쟁 중 집중 포격을 받아 건물이 크게 파괴되자 1955년 원한경 박사의 아들인 원일한 박사가 단층으로 개축하여 거주하였다. 이후 설립자인 언더우드 선교사(한국명: 원두우)와 우리나라의 근대교육 및 국가 발전에 이바지했던 그 가족을 기념하기 위해 2003년 언더우드가 기념관으로 새롭게 조성하여 개관하였다. 기념관 내부는 설립자의 정신과 그 일가의 헌신을 기억하고 후세에 알리고자 1930년대 당시 사택 내부의 모습으로 최대한 복원했으며, 언더우드가의 사진 및 서적 등을 중심으로 전시하여 2003년 10월 28일 개관하였다. 또한 2006년 5월 13일에는 원일한 박사 소장의 언더우드가 유품, 미공개 사진, 관련 서적과 영상자료 등을 보완하고 ‘언더우드의 삶’, ‘한국과 언더우드’, ‘문헌 자료실’로 확대 재구성하여 1층 전실을 언더우드가 기념관으로 재개관하였다. 2016년 11월 화재 발생으로 폐쇄하였지만, 2018년 5월 11일 소실된 부분을 복원하고 전시실을 전면 개편해 다시 문을 열었다.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4월 5일 국가등록문화재 제807호로 지정되었다.

    닫기
  • 언어연구교육원 상세 정보 보기

    언어연구교육원 건물은 1989년 12월에 착공하여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2,540.20평 규모로 1991년 4월 19에 준공되었다. 한국어학당과 외국어학당이 사용하여 오다가 현재는 한국어학당과 한국어교사연구소에서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연세삼성학술정보관 상세 정보 보기

    연세ㆍ삼성 학술정보관은 2005년 5월 14일 착공하여 2008년 3월 26일 준공되었으며, 2008년 5월 13일 정식 개관하였다. 철골⋅철근 콘크리트조 건물로서 지하 3층, 지상 7층, 연면적 10,356.68평의 규모이다. 연세ㆍ삼성 학술정보관은 21세기 디지털 정보 환경에 걸맞는 미래지향적인 학술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건축되었다. 중앙도서관과의 미적 조화와 연계성 및 이용자 동선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기능적으로 편리한 공간 구성이 되도록 설계하였으며, 특히 최첨단 IT 인프라 시설을 완비하고 도서관 전 지역에 무선 랜을 설치하여 건물 내 어디에서나 전자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으로 건축하였다. 또한 고품격 인테리어와 자연 채광의 실내 조경 등 쾌적하면서도 자연 친화적인 연구 학습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도서관 내 어느 공간에서나 서가 배치가 가능하도록 견고한 하중으로 설계하고 보존서고에는 밀집서가시스템을 도입하여 장서 수장 능력을 높였다. 2019년에는 1층에 IoT, 실감미디어, 인공지능 등을 융합한 지능형 공간 Y-Smart Space와 Y-Scape를 대학도서관 최초로 구축하였다.

    닫기
  • 연희관은 1956년 10월에 준공한 지하 1층, 지상 6층, 면적 445.47평, 연면적 2,014.53평의 석조 건물이다. 연희관이라 부르게 된 것은 1957년 “연희”와 “세브란스”가 통합될 때 “연희”란 이름을 남기기 위해 지어진 것이다. 본래 연희관을 세우는데 도와준 미국의 원조, 협력 정신을 체득하여 세계평화와 자유⋅정의의 실현, 과학 교육으로 문화 창조, 진리의 거화(巨火)를 밝힌 선배들의 유풍선양(遺風宣揚)을 기념하고 진리⋅자유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이공대학 전용의 과학관으로 사용되었다. 1984년 신축 과학관의 준공으로 이과대학이 이전한 후, 현재 사회과학대학과 행정대학원이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외솔관은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2,171.60평의 철근 콘크리트조 건물로서, 1981년 5월 9일에 착공하여 1982년 3월에 완공하였다. 인문과학에 대한 심오한 이론과 광범위한 응용 방법을 교수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과 독창적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전당으로서 주로 교수의 연구 기능에 중심을 두고 설계하였다. 1991년 11월 7일 학생자치공간 및 학습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인문관과 종합교실단 사이의 연결 복도 옥상에 지하 1층, 지상 1층, 연면적 333.65평 규모의 외솔관2를 준공하였다. 평생을 한글 운동에 헌신한 외솔 최현배 선생을 기리어 2001년 건물의 명칭을 인문관에서 외솔관으로 변경하였다. 현재 문과대학, 인문학연구원이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원두우신학관 상세 정보 보기

    원두우신학관은 1964년 12월에 준공된 연합신학대학원(국제선교협의회에서 기증한 사업기금으로 세워진 2층 석조 콘크리트건물이 노후되어 신과대학 및 연합신학대학원 동문, 교수 등이 모은 기부금과 연세대학교의 지원으로 재건축을 시작하여 2005년 5월 4일에 준공되었다. 지하 4층, 지상 4층, 연면적 3,001.38평으로 재건축된 신학관은 현재 신과대학과 연합신학대학원이 사용하고 있다. 2016년 신과대학과 연합신학대학원의 요청에 따라 건물 명칭을 신학관에서 원두우신학관으로 변경하였다.

    닫기
  • 위당관은 시위사태로 파괴된 종합관의 교육시설과 연구 자원들을 복구하기 위하여 1996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1년간 동문, 학부모, 교직원, 대학(원)생, 기업체, 일반인(사회단체) 및 정부로부터 피해복구 성금을 모아 지은 건물이다. 1997년 5월 29일에 착공하여 1998년 8월 24일에 최초 준공되었으며,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2,712.60평의 건물이다. 민족사관 정립과 국학 진흥에 헌신한 위당 정인보 선생을 기리기 위해 2001년 건물의 명칭을 제2인문관에서 위당관으로 변경하였고, 2011년에는 6층 일부를 증축하여 교육 및 연구 공간을 확장하였다. 현재 문과대학의 일부 학과와 국학연구원, 언어정보연구원, 문과대학 학술잡지실 및 무악서당 등이 있다.

    닫기
  • 유억겸기념관 상세 정보 보기

    유억겸기념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628.79평의 석조 콘크리트 건물로서 1962년 12월 10일에 준공되었다. 연세대학교를 위해 애쓴 고 유억겸 선생의 노고를 기리기 위하여 유억겸기념관으로 명명하였다. 이 건물은 교양학부가 1971년 8월 종합교실단으로 이전하기까지 사용하였고, 현재는 심리학과에서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음악대학 구관의 제1차 공사는 1976년 8월에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806평의 규모로 준공되었으며, 제2차 공사는 1982년 4월에 지상 4층 건물로 256.01평을 증축하여 이를 1982년 12월 20일에 최종 준공하였다. 이로써 음악대학 구관은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062평으로서 강의실, 관현악실, 오페라실, 교수실, 레슨실, 연습실, 행정지원실, 휴게실을 갖추고 있다. 이 건물은 현대적 감각에 맞게 새로운 조형미를 살린 외관과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정남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음악대학의 전용 건물인 만큼, 음향효과와 관제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피아노실은 음향조정을 위하여 5각형의 방음벽으로 처리되었고, 특별교실인 관현악실과 오페라 연습실은 방대한 음향처리를 위하여 2, 3층을 터서 음향적 효과를 최대한으로 조절하였을 뿐 아니라 건물 전면에는 루바를 설치하여 음향을 차단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음악대학 신관은 충분한 학습 및 연구 공간 확보를 위하여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409.9평의 건물로 1989년 12월 구관 옆에 착공하여 1991년 4월에 완공되었다. 주요시설로는 관객 366명을 수용할 수 있는 콘서트홀인 윤주용홀이 있다. 2011년 11월에 승강기 설치 공사를 하여 연면적 220평이 증축되었고, 2013년 8월 음악대학 구관을 전면 리모델링 하였으며, 2013년 11월 건물 명칭을 음악관 A, B로 변경하였다.

    닫기
  • 이윤재관 상세 정보 보기

    이윤재관은 1972년 6월, 미국 연합장로교 선교회에서 기증한 5만 불로 세워진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587평의 건물이었다. 아름다운 벗을 사귀는 집이라는 뜻의 미우학사로 불리우며 기숙사로 사용되다가, 2005년 12월 전면적인 리모델링 후 미래교육원이 사용하며 미우관으로 개칭하였다. 새로운 미우관은 이를 철거한 부지에 재건축으로 지어졌으며, 2년 간의 공사 끝에 지하 2층, 지상 10층, 연면적 4,916평 규모로 2021년 4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이후 2023년 5월 4일 이윤재 회장의 교육과 연구에 대한 헌신에 감사하며 미우관을 이윤재관으로 개칭하였다. 현재는 미래교육원이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제중학사 상세 정보 보기

    제중학사는 1974년에 개사하여 2018년 철거될 때까지 약 40년 동안 의과대학 학생들의 보금자리이자 인재의 산실로 사용되었다. 옛 제중학사의 건물이 노후되고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개념의 기숙사 건물의 필요성에 따라 인근 법현학사와 함께 본교와 의료원이 힘을 합쳐 재건축하게 되었고, 2016년 12월에 새 제중학사가 준공되었다. 지하 3층, 지상 7층, 연면적 5,935.7평 규모의 건물로서 총 302실에 최대 604명을 수용하게 되며, 2017학년도 1학기부터 의과대학 학생들의 개사가 시작되었다. 제중학사에는 2인 1실 사생실 외에 스터디룸, 세미나실, 피트니스센터, 휴게실, 편의점 등 각종 편의시설이 있다.

    닫기
  • 중앙도서관 상세 정보 보기

    중앙도서관은 연세 학문의 발전과 문화 창조의 원천으로, 오늘의 연세 교육에 부과된 사명과 책임을 수행하려는 의지의 표상이다. ‘연세 백년을 향한 마스터플랜’에 따라 4,747평의 대지 위에 열람 인원 4,600석, 장서 소장 능력 100만 권을 목표로 1977년 5월에 착공하여 1979년 4월 18일에 지하 1층, 지상 6층, 연면적 5,210평으로 최초 준공되었다. 이후, 1992년 증축되어 연면적은 5,856.17평으로 늘어났다. 우리나라 민간 건축으로는 규모가 가장 큰 화강석 석조 건물이다. 중앙도서관은 미국 AID자금 1백만 불을 무상원조 받아 도서관 내 컴퓨터시설, 냉난방 기계설치 일부 및 도서관 내의 모든 비품을 마련하였다. 2011년에는 노후된 시설과 냉난방 및 환기 공조시스템을 개선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과 이용 동선 확대, IT 환경 조성, 다양한 커뮤니티시설 공간 제공을 위해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였다.

    닫기
  • 첨단과학기술연구관 상세 정보 보기

    첨단과학기술연구관은 첨단 과학 기술 연구를 위한 공동 연구 공간으로 지하 3층, 지상 3층, 연면적 3,470평 규모로 2003년 6월에 착공하여 2004년 12월 30일에 준공되었다. 2010년 2월에 3개 층을 증축하여 연면적 4833.08평으로 늘어났다. 첨단 장비와 시설을 갖춘 실험실, 연구실, 크린실, 무균실, 사무실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 공동기기원, 나노메디칼국가핵심연구센터, World Class University사업단 등 연구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다.

    닫기
  • 체육관은 철근 콘크리트로 된 아치식 건물로 1960년 4월 15일에 최초 준공되었다. 그러나 제반 시설이 노후되어 2010년 12월부터 리모델링을 시작하여 2011년 10월 4일에 다시 개관하였다. 이로써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902.81평 규모의 다목적 용도의 새로운 건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전면부의 진입 계단은 사라지고, 대신 유리 벽면이 설치되어 보다 쾌적한 외관을 갖추게 되었으며, 커튼 월, 지붕의 흡음 데크 판넬, 그리고 벽체의 폴리메탈 판넬이 시공되었다. 체육관은 농구, 배구 등의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경기장으로서 1,21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일부 공간은 체육위원회 사무실로 활용되고 있다.

    닫기
  • 체육교육관 상세 정보 보기

    체육교육관은 1978년 11월 24일 착공하여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727.30평의 규모로 1979년 9월 24일 준공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이다. 입체 면적 1,024.72평이며, 기존 체육시설과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체육활동의 동선을 최대한 살려 배치되어 있고, 수영장, 체력측정실, 강의실, 체조장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현재 체육계열학과와 연세대학교 구성원의 체육복지시설로 활용된다.

    닫기
  • 핀슨관은 두 번째로 오래된 1922년에 건립된 지상 3층, 연면적 224평의 석조 건물로서, 이 건물의 건립 자금 모금에 공헌이 큰 핀슨 박사를 기념하여 핀슨 홀이라 부른다. 초기에는 남학생 기숙사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신학관, 음악관, 법인사무처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2013년 윤동주 시인의 유가족들이 육필원고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비롯한 129편의 시들과 각종 유품을 기증한 것을 계기로, 2020년 1월 핀슨관 전체를 윤동주기념관으로 개관⋅봉헌하게 되었다.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를 평가받아 2019년 12월 30일 국가등록문화재 770호로 지정되었다.

    닫기
  • 한경관은 1940년에 세워졌으며, 연희전문학교 제3대 교장이었던 원한경 박사의 이름을 붙여 한경관이라 부른다.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306.22평의 석조 건물로 현재는 교직원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닫기
  • IBS관은 나노의학연구단이 기초과학연구원의 외부연구단으로 선정됨에 따라 세계적 수준의 융합기초과학연구소 설립을 위해 마련된 최첨단 연구 건물이다.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1304.02평 규모이며, 2016년 12월 14일에 착공하여 2018년 2월 27일에 준공되었다. 이 건물은 연구자 중심, 협업 유도, 창의 증진을 핵심 철학으로 설계되었으며, 장벽 없는 연구소 개념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분리형 설계를 통해 안정성을 높이고, 불투명한 벽들을 제거하고, 꼭 필요한 곳에는 투명한 유리벽을 설치하는 등 모든 구성원들의 원활한 소통을 돕기 위한 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닫기
  • SK 국제학사 상세 정보 보기

    SK국제학사는 연면적 7,039평, 지하 4층 지상 7층 규모의 외국인 전용 기숙사로 2008년 4월 착공하여 2010년 2월 12일에 준공되었다. 기숙사 규모는 1인실 187실, 2인실 197실, 장애인실 4실, 3인 가족실 10실, 5인 가족실 5실로 총 403실, 640명을 수용할 수 있고, 외국 학생들의 생활에 필요한 각종 편의시설과 넓은 주차장, 첨단 자동제어 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SK주식회사에서 일부 공사비를 기증하여 SK 국제학사라 명명하였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