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소개

보도자료

[2022. 5. 23.] 연세대 이상영 교수팀, 3차원 격자 구조 리튬금속 음극 개발 2022.05.23

연세대 이상영 교수팀, 3차원 격자 구조 리튬금속 음극 개발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2배 향상 가능한 리튬금속전지 상용화 발판 마련 -

세계적인 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게재 -

연세대학교 이상영 교수(화공생명공학과연구팀은 3차원 격자 구조를 갖는 리튬금속 음극을 개발했다이를 통해 기존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전지 기술로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금속전지의 실질적 상용화를 위한 효율적인 접근법을 학문적으로 제시했다.

 

전기자동차 및 ESS에 사용되는 전지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고에너지 밀도 및 장수명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현재 상업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는 흑연 기반 음극을 사용해 리튬을 저장한다하지만 흑연 음극의 낮은 이론 용량(372 mAh/g)으로 인해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한계에 이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리튬금속전지는 리튬금속을 음극 소재로 사용하며이는 흑연 대비 10배 이상 높은 이론 용량(3,860 mAh/g)을 가져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이로 인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히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전지 분야이지만리튬금속 음극은 충전 시 음극 표면에 리튬의 수지상 성장이 유도돼 낮은 수명 특성 및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리튬 수지상 성장이 억제되고 균일한 리튬 전착이 가능해야 한다최근 리튬 저장이 가능한 다공체 도입이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시도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그러나 다공체 내부에 안정적 리튬 전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균일한 미세기공 구조를 구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또한기존 연구들에서는 에너지 저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다공체 골격 자체의 무게 및 부피로 인해 전지의 실질적인 에너지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수반됐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연세대 이상영 교수 연구팀은 리튬이 다공체 내부에 안정적으로 저장됨과 동시에 다공체 골격 자체가 에너지 저장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리튬금속 저장 다공체를 고안했다리튬 충·방전이 가능한 실리콘 음극 소재를 이용해 3차원 격자 구조 다공체를 제조함으로써에너지 밀도 손실 없이 안정적인 리튬 전착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의 3차원 격자 구조 리튬금속 음극은 하이니켈(NCM811) 고용량 양극과의 결합을 통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약 2배 증가한 에너지 밀도(644 Wh/kg, 1538 Wh/L)를 갖는 리튬금속전지를 구현했다.

 

이상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세대 고에너지 전극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는 리튬금속 저장 다공체의 이상적 구조를 최초로 구현한 결과로서이를 통해 전기자동차 및 ESS용 리튬금속전지의 실질적 실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 권위지인 에너지 및 환경 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IF 38.532)’에 5월 19일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 A microgrid-patterned silicon electrode as an electroactive lithium host).

 

 

붙임 1. 연구진 사진 1.

2. 논문 대표 이미지 1.

 

(연구진 사진 설명)

(왼쪽부터연세대 이상영 교수류명화 제1저자김승혁 제1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