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소개

보도자료

[2022. 5. 10.]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김지하 시인과 김대중 대통령 관련 사료 공개 2022.05.10

연세대 김대중도서관김지하 시인과 김대중 대통령 관련 사료 공개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관장 한석희)은 5월 8일 별세한 김지하 시인과 김대중 대통령 관련 사료를 공개한다이번에 공개하는 사료는 총 4개이며이 사료들은 김대중 대통령과 연관된 김지하 시인의 활동과 한국 민주화 운동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공개 사료 1은 1973년 4월 미국에서 발간된 김지하 시인의 시집 표지와 시집에 수록된 김대중의 추천사이다. 1973년 4월 재미 민주화통일 운동가 임창영 박사는 김지하 시인의 활동을 미국 교포들에게 알리기 위해 김지하 시인의 대표적인 시인 오적(1970년 발표)’과 비어(1971년 발표)’가 수록된 시집을 발간했다김지하 시인이 저항 시인으로서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자 재미 교포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이 시집에는 발행인 임창영 박사의 발간사인 머릿말과 당시 반유신 투쟁을 위해 해외 망명 중이던 김대중의 추천사인 치사(致辭)가 수록돼 있다.

 

김지하 시인은 1970년대 초부터 해외에서도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그가 크게 알려지게 된 것은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은 1974년부터다따라서 그보다 이른 1973년 미국에서 발간된 이 시집은 김지하 시인의 활동과 그의 시가 해외에 알려지게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또한 1970년대 초부터 김지하 시인과 인연이 있었던 김대중이 추천사에서 김지하 시인과 그 시에 대해 평론한 것도 의미가 크다.

 

공개 사료 2는 1974년 토머스 모건(Thomas E. Morgan)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에게 보낸 탄원서이다. 1974년 7월 민청학련 사건으로 김지하 시인이 사형선고를 받자 국제적인 구명운동이 전개됐으며미국에서는 1973년 7월 김대중이 망명 기간 중 조직한 한민통 미국 본부가 그 역할을 했다한민통 미국 본부는 김지하의 구명과 1973년 8월 납치된 김대중의 자유로운 활동을 촉구하기 위해 토머스 모건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에게 보내는 청원서를 작성했다.

 

유신 정권 초반에는 김대중이 한국의 민주화와 인권투쟁의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졌었다김대중은 야당의 대통령 후보였고 1973년 8월 일본 도쿄에서 발생한 납치 테러 사건을 통해 죽을 고비를 넘긴 이후 국제적으로 유명해졌기 때문이다이와 같은 김대중과 함께 김지하 시인이 국제적으로 크게 알려지고 있음을 이 사료를 통해 알 수 있다김지하가 저항 시인으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공개 사료 3은 1975년 10월 11일 미국에서 개최된 김지하의 밤’ 관련 자료로김지하 시인은 1975년 2월 15일 형 집행정지로 석방됐지만 불과 한 달여 뒤인 3월 14일에 재수감됐다(재수감된 이후 1980년 12월 11일에 석방). 그래서 1974년 사형선고 이후 전개됐던 김지하 시인을 위한 국제적인 인권 회복 운동이 재개됐는데이와 관련된 자료이다.

 

김지하의 밤’ 행사 자료를 보면 인혁당 사건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다가 유신 정권에 의해 추방된 시노트 신부가 강연을 했고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석학인 브루스 커밍스 교수가 영시 낭독을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이는 재미교포와 외국인 사이의 연대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한국의 민주화와 인권 회복 투쟁이 국제적 성격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개 사료 4는 김지하 시인의 모친 정천대자 여사가 1975년 미국의 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The Korea Relief Fund in Greater Philadelphia) 김순경 회장(템플대 화학과 교수)에게 보낸 편지이다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는 1974년 8월 1일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조직된 재미 인권 운동 단체로서 한국의 민주화 운동가와 그 가족들에게 물질적인 도움을 줬다김순경 회장은 1대 회장으로서 1974년부터 1981년까지 회장직을 맡았다.

 

편지 내용을 통해 당시 김지하 시인이 겪어야 했던 수감생활의 고통을 알 수 있으며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미국 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붙임 1. 공개 사료 사진 10.

2. 공개 사료 1, 2, 4 전문(보도자료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