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소식

[신촌캠퍼스 소식] 김대중도서관, 김대중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한승헌 변호사 활동 관련 사료 공개

연세대학교 홍보팀 / news@yonsei.ac.kr
2022-04-21

김대중도서관, 김대중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한승헌 변호사 활동 관련 사료 공개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의 모임’ 공동위원장 활동 시절 사진 4장



김대중도서관(관장 한석희)은 4월 20일 별세한 한승헌 변호사 관련 사료를 공개했다. 한승헌 변호사는 대표적인 인권 변호사로서 사회적으로 존경받았으며, 김대중 대통령과 함께 오랜 기간 민주화 투쟁을 함께해 온 민주화운동가이기도 했다. 특히 한승헌 변호사는 1993년 9월 10일 결성된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의 모임’의 공동위원장을 맡아 양심적인 일본 측 인사들과 함께 이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이날 공개한 사료는 한승헌 변호사가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의 모임’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하던 시절의 사진 4장이다. ▲1993년 9월 15일 김대중 납치사건 일본 측 진상조사위원회의 덴 히데오 참의원 방한 사진, ▲1993년 11월 24일 한승헌 변호사의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소견서’ 발표 사진, ▲1993년 12월 3일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과 한·일 양국 정부의 책임’을 주제로 열린 한일 공동 심포지엄 사진, ▲1994년 3월 7일 김대중 납치사건 해결을 위한 한일 양측 대표들이 무라야마 도미이치 일본 사회당 당수(1994년 6월 일본 총리가 됨)를 만났을 때의 사진이다.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에서 발생한 김대중 납치사건은 매우 충격적인 사건으로 한일 관계에도 큰 영향을 줬다. 사건의 진상이 밝혀질 경우 한일 양국 정부 모두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양국 정부는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피해 복구 등의 조치를 취하는 대신 소위 정치결착을 통해 이 사건을 봉합해 버렸다. 이에 대한 반발은 양국 모두에서 이뤄졌다. 다만, 한국에서는 1987년 민주화 이전에는 이 사건에 대한 공론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그리고 김대중이 야당의 리더로서 본격적으로 활동하던 1988년부터 1992년까지도 비슷했다. 이때는 전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였지만 사건 피해 당사자인 김대중이 야당의 리더로서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한승헌 변호사가 공동위원장을 맡은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의 모임’이 1993년 9월 결성된 이후부터 이 사건에 대한 민간 차원의 조사가 본격화됐다.


민간 차원의 조사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근본적인 제약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매우 중대한 성과를 냈다. 한일 양국에서 관련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잊혀 가던 이 사건에 대한 국제적 공론화에 성공했고, 그 결과 추가 자료 수집 등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1995년 9월 ‘김대중 납치사건의 진상’이라는 연구자료집이 발간될 수 있었다. 이 책에는 그동안 수집한 사건 관련 문헌, 사진, 증언 등 각종 자료가 총망라돼 있어 납치사건의 실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한승헌 변호사가 주도한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의 모임’은 김대중 납치사건의 의미와 역사적 성격을 밝히고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공개 사료

[사진 1. 1993년 9월 15일. 김대중 납치사건 일본 측 진상조사위원회의 덴 히데오 참의원이 방한했을 때의 사진. 우측 세 번째가 김대중, 김대중 우측에 이문영 교수, 김대중 좌측 첫 번째 덴 히데오 참의원, 김대중 좌측 두 번째 한승헌 변호사]


[사진 2. 1993년 11월 24일.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소견서’ 발표할 때의 모습. 서서 발표하는 인물이 한승헌 변호사]


[사진 3. 1993년 12월 3일. 한일 공동 심포지엄(주제: 김대중 선생 납치사건과 한·일 양국 정부의 책임) 때의 사진. 첫 번째 줄 정중앙에 한승헌 변호사, 한승헌 변호사 바로 뒤에 이해동 목사, 좌측에서 두 번째 이문영 교수, 우측 첫 번째 줄에서 세 번째 박용길 장로(문익환 목사 부인), 우측 첫 번째 줄에서 네 번째 이우정 교수, 우측 첫 번째 줄에서 다섯 번째 여성인권운동가 이태영 변호사] 


[사진 4. 1994년 3월 7일. 김대중 납치사건 해결을 위한 한일 양측 대표들이 무라야마 도미이치 일본 사회당 당수(1994년 6월에 일본 총리가 됨)를 만났을 때의 사진. 가운데가 무라야마 도미이치 사회당 당수, 좌측에 한승헌 변호사]

 

vol. 631
웹진 PDF 다운로드

연세소식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를 작성 후 news@yonsei.ac.kr로 보내주세요
신청서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