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세소식

[의료원 소식] 만성신장병 환자 혈압 변화와 신장 기능 악화 사이 상관관계 규명

연세대학교 홍보팀 / news@yonsei.ac.kr
2022-01-10

만성신장병 환자 혈압 변화와 신장 기능 악화 사이 상관관계 규명

의대 한승혁 교수(내과학), 주영수 교수(용인 신장내과)팀



의대 한승혁 교수(내과학), 주영수 교수(용인 신장내과)팀이 시간 흐름에 따른 만성신장병 환자의 혈압 변화와 신장 기능 악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연구는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국제 학술지 ‘Hypertension(IF 10.190)’에 최근 게재됐다.


만성신장병은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신장에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요독, 부종, 빈혈, 혈압 상승 등을 동반하며 5기에 해당하는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될 경우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통해서만 생존할 수 있다.


만성신장병 환자들에게 흔히 관찰되는 고혈압은 만성신장병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신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발생하기도 한다. 이처럼 고혈압은 만성신장병에 있어 신장 기능의 악화 인자로 알려져 있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환자의 혈압 변화가 신장 기능 악화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니는가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혈압의 변화와 신장 기능 악화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만성신장병 환자로 구성된 KNOW-CKD(한국인 만성신장병 장기 추적 연구 사업, KoreaN cohort study for Outcom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1년 사이의 혈압 변화를 궤적 모델링(Trajectory modeling) 해 참가자들을 증가, 감소, 안정의 세 군으로 나누고 신장 기능 저하 및 말기신부전 진행 결과를 생존 분석을 통해 살폈다.


분석 결과 1년 동안 혈압이 증가한 군은 안정적인 군보다 신장 기능 악화 위험이 1.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압이 감소한 군은 안정적인 군과 유사한 수준의 위험도를 보였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혈압이 증가하는 환자의 경우 만성신부전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며 신장 기능의 보전을 위해서는 혈압 조절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주영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단순히 혈압의 높고 낮음을 넘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혈압의 변화 추세가 신장 기능의 악화와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밝혔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며 “만성신장병 환자 치료에 있어 적극적인 혈압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한 만큼 치료 과정에서 환자들에게 더욱 적절한 치료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vol. 631
웹진 PDF 다운로드

연세소식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를 작성 후 news@yonsei.ac.kr로 보내주세요
신청서 다운로드